
❓
1차 지원금 대비 변경점
1차: 전 국민 지급
2차: 소득·재산 기준을 도입하여 ‘선별 지원’ 방식
❓
신청 방법 및 대상 (40%)
1. 신청 기간
- 신청 시작일: 2025년 9월 1일(월)
- 신청 마감일: 2025년 9월 30일(화)
>>> 마감일 이후에는 추가 신청 불가하므로 반드시 기간 내 신청해야 함
2.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
>>> 아직은사이트 없어요. 나오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.
>>> 필요 정보: 신청자 주민등록번호(본인 확인), 가구원 수 확인, 지원금 수령 계좌(또는 카드 등록)
- 오프라인 신청
>>> 주민센터 방문: 신분증 지참 → 신청서 작성
- 카드사 연계: 본인 명의 카드사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도 신청 가능
3. 지원 대상
- 가구 소득 하위 80% 이하 가구 (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산정)
- 재산 보유 기준: 총 재산 3억 원 이하
- 가구원 수별 기준: 1인·2인 가구도 포함, 다만 고소득/고액자산 가구는 제외
❓
지원금 지급 및 사용처
1. 지급 방식
- 신용·체크카드 포인트 충전
- 지역사랑상품권(모바일/지류)
- 선불카드 (주민센터 발급)
2. 사용처
- 전통시장, 동네 마트와 슈퍼
- 개인이 운영하는 음식점·카페
- 약국, 학원, 미용실, 생활용품점
- 동네 병·의원 등
3. 사용 불가
- 대형마트(이마트·홈플러스 등)
- 백화점, 면세점
- 온라인 쇼핑몰·배달앱 결제
- 유흥업소, 사행성 업종
⏰ 사용 기한
2026년 1월 31일(토)까지 사용 가능
> 기한 내 미사용분은 자동 소멸되어 환불 불가
❓
지급액은 얼마나 받나요? (가구 기준)
1인 가구 30만 원
2인 가구 50만 원
3인 가구 70만 원
4인 가구 이상 100만 원
※ 동일 세대 내 가구원 기준으로 합산 지급
※ 미성년자: 직접 신청 불가, 가구주(부모 등)가 대신 신청
'삶에 도움이 되는 정책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집, 차, 보험 재산이 있어도 개인회생 신청가능할까? (0) | 2025.09.17 |
|---|---|
| 개인회생 소득 없어도 신청 가능할까? (0) | 2025.09.17 |
| 자급제 통신사 폰 차이가 뭐지? 나한테 유리한 것은? (0) | 2025.02.21 |
| 유망직업, 요양사 요양보호사 시급 자격증 (0) | 2025.02.21 |
| 용달이사 비용 이삿짐 싸는 팁과 체크리스트 (0) | 2025.02.20 |